교육부에서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응시원서 접수 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
지원자 현황
총 지원자수는 작년보다 18,082명(3.6%) 증가한 522,670명입니다.
그 중 재학생 수는 전년 대비 14,131명(4.3%)이 증가한 340,777명이고, 졸업생 수는 전년 대비 2,042명(1.3%)이 증가한 161,784명으로 무려 졸업생 비중이 전체 지원자 수의 31% 나 차지합니다.
선택 영역·과목별 현황
올해 수능에서 과학탐구를 2과목 응사하는 인원이 작년대비 41,932명 감소한 반면에 사회탐구 2과목 응시자는 26,593명이 증가했습니다. 또한, 사탐 1과목과 과탁 1과목을 응시한 인원도 33,007명이나 늘어났습니다.
구분 | 2023 | 2024 | 2025 | |||
사회탐구 | 247,540 | 50.3% | 234,915 | 48.2% | 261,508 | 51.8% |
과학탐구 | 229,424 | 46.7% | 232,966 | 47.8% | 191,034 | 37.8% |
사탐(1과목)+과탐(1과목) | 14,749 | 3.0% | 19,188 | 3.9% | 52,195 | 10.3% |
계 | 491,713 | 487,069 | 504,737 |
일명 사탐런 현상으로 과학탐구에서는 화학1 이 15,440명이 감소하여 전년 대비 24.1%나 감소했고, 물리학1보다 15,000명 정도 적은 인원이 응시를 하면서 올해 수능에서 화학1의 1등급 인원은 작년보다 600명이나 감소하게 되었습니다.
과학탐구에서 가장 많은 인원이 응시한 생명과학1에서도 2등급까지 누적인원이 무려 2,000명이나 감소해서 수능최저에 과탐이 포함될 경우 수능 최저를 충족할 수 있는 인원이 줄게 될 수도 있습니다.
탐구 영역은 국어, 수학과 달리 응시 인원이 분산되기 때문에 응시 인원의 변화가 등급 산출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클 수 있습니다. 자연계 지원 학생들은 정시 뿐만 아니라 수능 최저가 있는 수시 전형을 지원할 때 반드시 검토해야 할 변수이므로 잘 참고헤서 좋은 전략 세우시기 바랍니다.
*출처 : 교육부 블로그
'진로진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 개정 고등학교 영어 이렇게 달라져요 (8) | 2024.09.26 |
---|---|
2022 개정 고등학교 수학 이렇게 달라져요 (3) | 2024.09.25 |
2022 개정 고등학교 국어 이렇게 달라져요 (8) | 2024.09.24 |
2022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 이렇게 달라져요 (6) | 2024.09.23 |
6월 모평 집에서도 볼 수 있어요! : 온라인 응시 홈페이지 바로가기 (0) | 2024.05.31 |
과학은 마법이다! 네이버과학 포스터 4종 모음 (1) | 2024.05.08 |
[대교협] 2026학년도 대학입학전형시행계획 발표 (0) | 2024.05.03 |
2025학년도 서울대 학생부종합전형 안내 책자 (1) | 2024.04.26 |